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페이스북
- node.js
- 도메인
- TypeScript
- fanzeel
- angular4
- NeXT
- Android
- react
- Elastic Beanstalk
- cors
- angular
- 네이티브
- https
- JavaScript
- nextjs
- 카카오톡
- node
- 알려줌
- ios
- AWS
- 웹뷰
- hybrid
- Route53
- S3
- 안드로이드
- beanstalk
- 감사일기
- php
- swift
- Today
- Total
쪼렙 as! 풀스택
S3 스토리지 사용하기 #3 - static 웹사이트로 만들고, 도메인 연결하기. 본문
S3 버킷에 html 파일을 올려서 Static 웹사이트로 만들 수 도 있습니다. 이게 참 별거 아닌거같은데, 요새같이 SPA 형태로 만드는 웹앱에서는 서버리스로 웹앱을 구성할 수 도 있단 얘기입니다!! 필자는 Angular로 웹앱을 만들어 본 적이 있는데, Angular 는 일단 index.html 파일과, 관련된 자바스크립트만 다운로드 되면, 클라이언트단에서 렌더링하기 때문에, 이 S3 Static 웹사이트 기능을 이용해서 서버리스 웹앱을 만들 수 있게 되는것입니다. (물론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경우 API 서버가 필요하긴 합니다만 기본적으로 서버리스 웹앱이 가능해집니다.)
뭐, 서버리스 웹앱 까지는 아니고, 그냥 파일 주소를 내 도메인으로 사용하려는 용도로도 사용가능하겠습니다. 지금처럼 https: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xxx.xxxx.xxx/image2.png 같은 주소를 xxx.com/image2.png 로 사용할 수 있게 되겠네요.
1. S3 - 내가 만든 버킷에 들어가봅시다. - Properties - Static website hosting 을 선택합니다.
2. 첫번째 Use this bucket to hosting a webstite 를 선택합니다. index.html 파일은 원하는 파일 이름으로...
3. 요렇게 Bucket Hosting 에 불이 들어오면 완료된것입니다.
4. 그럼 도메인을 연결해 봅니다.
Route-53 서비스로 들어가서 내 도메인을 선택합니다.
5. Create Record Set - 우측에 레코드셋을 입력할 수 있는데요, 버킷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만들어야 합니다! (그래서 s3 버킷 만들 때, 버킷의 이름이 중요합니다)
Alias 를 Yes 로 만들고, Alias Target 을 눌러보면 처음엔 Loading... 시간이 쫌 걸립니다.
S3 website endpoints 에 내가 만든 버킷 이름이 나타난다면, 그것을 Target 으로 선택 -> Create 버튼 클릭.
6. 연결이 완료되었습니다. 이제 이 입력한 주소로 s3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브라우저에 해당 도메인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index.html 파일도 열립니다. 이것을 통해 정적인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겠습니다.
'개발 일지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3 - SDK(PHP) 로 사용하기 #2 - Object 업로드하기, 삭제하기. (0) | 2017.05.31 |
---|---|
S3 - SDK(PHP) 로 사용하기 #1 - 안전하게 권한 설정하기. (0) | 2017.05.19 |
S3 스토리지 사용하기 #2 - 웹으로 접근 가능하게 퍼미션 조정하기 (0) | 2017.05.17 |
S3 스토리지 사용하기 #1 - 버킷 만들고 파일 업로드하기 (0) | 2017.05.16 |
Elastic Beanstalk 에서 HTTPS 로 Redirect 시키려 한 삽질들... (1) | 2017.05.16 |